Thursday, February 23, 2017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Reader

2016년 미 대선의 결과는 예상을 뛰어넘는 충격이었으며, 그 충격파에 걸맞게 오만가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여러 갈래의 분석 중 가장 잘 주장된 서적 및 기사들을 모아봤다.

분석 1.  힐러리 클린턴 선거팀의 잘못된 캠페인 전략.

Edward Isaac-Dovere, Politico:  How Clinton Lost Michigan--and Blew the Election. 미시건, 펜실베니아, 오하이오 세 주를 합쳐 7만 표 이하로 승부가 갈린 선거라는 점에 집중하면, 클린턴 캠프의 미시건 주 전략 실패가 뼈아팠다. 미시건 현장에 있었던 자원봉사자들은 위험신호를 감지했고 계속 증원요청을 했으나, 잘못된 데이터에 의존하던 클린턴 선거본부는 증원을 거부했고, 본부가 위험을 알아차렸을 때는 이미 늦어버렸다.

분석 2.  후보로서의 클린턴 매력 부족, 혹은 민주당 유권자들의 안일함.

Michael D. Regan, PBS: What does Voter Turnout Tell us about the 2016 Election? 특히 중서부에서 2016년의 클린턴은 2012년 오바마에 비해 모든 유권자층에서 표를 덜 받았고, 상대적으로 2012년의 롬니 수준을 지켜낸 2016년의 트럼프가 결국 승리했다는 분석. 대통령이 재선을 노리는 선거가 아닌 경우 대개 투표율이 올라가지만, 이례적으로 2016년에선 19개 주에서 투표율이 하락했다. 오바마가 특출할 정도로 투표율을 상승시키는 정치인인지, 민주당 유권자들이 클린턴 우세를 짐작하고 안일하게 대응했는지는 불분명하다.

분석 3. 중서부의 쇠락.

J.D. Vance: Hillbilly Elegy.  이번 선거 최고의 베스트셀러. 가난한 오하이오 출신으로 군대를 다녀와 예일 로스쿨을 나온 작가의 자서전. 민주, 공화 양당이 합심하여 정책적으로 중서부를 포기했고, 이것이 원래 그 지역에 살던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출신의 바람직하지 않는 문화와 결합하여 절망적 상황을 창조했다. 

선거에 대한 직접적인 코멘트는 하지 않지만, 작가의 결론에다가 "고로 중서부 주민들은 트럼프를 지지했다"라는 부연을 다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분석 1과 연관이 있으나, 선거 전략적 문제가 아니라 그 하부에 있는 트렌드를 관찰한다는 점이 다르다.

분석 4. 하층민의 절망.

Chris Arnade, the Guardian:  What I Learned After 100,000 Miles on the Road Talking to Trump Supporters.  원래 작가는 미국의 마약중독 및 자살 문제에 대해 연구하려 했으나 마약문제가 심각하고 자살률이 높은 지역일 수록 트럼프 지지가 높다는 점을 관찰하고, 트럼프 지지자들은 '위대한 미국'이란 이미지에서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으며, 위대한 미국 국민에 걸맞지 않는 자신의 삶에 절망하고, 그러한 삶까지 이르게 한 상류층을 저주하는 의미로 트럼프를 지지한다고 해석.

분석 2와 비슷하고 실제로 중서부에 많이 집중하지만, 분석 자체는 중서부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분석 5. 신자유주의 좌파의 실패.

John B. Judis:  The Populist Explosion: How the Great Recession Transformed American and European Politics.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부유층에 반발하는 포퓰리즘의 동력이 생겨났으나, 오바마는 이 동력을 좌파적 방향으로 흡수하지 못 했기 때문에 결국 이 동력은 유럽과 비슷한 극우파로 이동했다는 분석. 

분석 2, 3과 비슷한 맥락이나 경제 정책에 중점을 두어 미국과 유럽을 뭉뚱그렸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Matt Stoller, Washington Post:  Democrats Can't Win Until They Realize how Bad Obama's Financial Policies were.  좀 더 미시적으로, 미국의 민주당은 빌 클린턴 시대 이후부터 민중의 당의 되기를 포기했으며, 그러한 기조를 이어받은 오바마는 세계 금융위기라는 절호의 기회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만을 돕고 주택소유자들의 구제를 게을리 함으로서 노동자 친화적인 정책을 수립할 기회를 걷어차버렸다는 분석.

분석 6. 소수자가 되어가는 백인들의 불안감.

Justin Gest:  The New Minority: White Working Class Politics in an Age of Immigration and Inequality.   '백인'이란 변인에 집중하고 그들이 경제정책 및 이민정책에 어떠한 식으로 반응하여 어떠한 정치적 선택을 내리는가를 분석하여 인종적 정치역학을 분석.  분석 3, 4와 연계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 인종차별주의라는 변인에 집중하진 않지만, 영국와 미국 유권자들을 '백인'이란 층위로 연결하여 분석한다는 점에서 암묵적으로 이 부분을 조명한다.

분석 7. 흑인 대통령에 대한 백인들의 반감과 인종차별.

Dylan Matthews, Vox:  Taking Trump Voters' Concerns Seriously Means Listening to What They're Actually Saying.  실제 트럼프 지지자들의 경제적 위치를 봤을 때 대부분의 트럼프 지지자들은 중산층이고 실제로 경제적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계층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하며, 트럼프 지지의 주 동력은 인종차별주의란 분석. 경제적 변인에 중점을 둔 분석 5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

분석 8. 인구학적 될놈될.

Nate Silver, FiveThirtyEight:  Clinton's Ground Game Didn't Cost Her the Election.  클린턴이 미시건이나 위스컨신에서 캠페인을 안 하기도 했지만, 캠페인을 매우 열심히 한 펜실베니아에서 패배 격차가 위스컨신 패배 격차와 별 차이가 없는 것을 봤을 때, 미시적 선거 전략 혹은 캠페인의 자원배치 결정은 선거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분석. 분석 1과 배치되는 주장.

개인적 분석.

개인적으론 데이터가 결여된 분석은 참조는 하지만 그다지 신뢰는 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 3과 4는 크게 신뢰가 가지 않는다. 미국사회의 큰 흐름을 설명한다고는 볼 수 있지만, 이 분석들에 나타난 사람들을 두고 "그래서 이들은 트럼프를 지지한다"라는 결론이 선뜻 나오지는 않는다.

분석 1은 분석 8의 데이터로 논파당하고, 분석 5는 진보진영 사이에선 대세로 잡혀가고 있지만 분석 7 데이터가 지적하는 바에 할 말이 없다. 그러므로 현재로선 분석 2 (클린턴 개인의 역량부족, 혹은 오바마가 먼치킨이었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 분석 6 (경제적 요소가 섞인 인종차별성 경향), 분석 7 (그냥 인종차별), 분석 8 (미시적 선거전략은 별 의미 없음) 정도로 가닥을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