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영어공부.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영어공부. Show all posts

Saturday, November 1, 2014

2014년 10월 29일자 퇴고와 기교

서태지의 신곡 "소격동"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포스팅을 올렸다.

He actually grew up in the neighborhood, having attended the nearby Jaedong Elementary School.

- 최근 내 글이 "입에 짝짝 붙는다"라는 상찬을 들었다. 아마도 글을 쓸 때 언제나 리듬감을 고려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시가 아닌 산문인 경우에도 리듬감이 있어야 읽기 쉽고 내용전달이 잘 된다. 이 문장의 리듬감에 주목하기 바란다. 쉼표 앞은 짧고 힘있고, 쉼표 뒤는 조금 더 편안하고 서술적이다. "강-약"의 리듬감이다.

- "having"처럼 현재진행형을 사용해서 앞 문장을 부연하는 것은 자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형태이다. 꼭 숙지할 것을 권한다.

To be sure, the situation was better than North Korea's--but not by that much.

- "not by much"라는 표현은 상당히 유용하다. 외울 것을 권한다.

It is believed that approximately 1,100 students were forcibly drafted during the School Greening Project; six were killed in the process.

- 이 문장에서 세미콜론으로 연결할지, 마침표로 두 문장을 만들지 많이 고민하다 전자를 택했으나, 아직도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여섯 명이 죽었다"를 부각시키려면 마침표, 빨리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려면 세미콜론. 결국 마음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선택이 어려운 것이다.

Saturday, October 18, 2014

2014년 10월 18일자 퇴고와 기교

한국의 노동 생산성에 대한 포스트를 썼다.

As much as Koreans love their food, gastronomical pleasure alone does not explain why Korea has nearly seven times more restaurants per capita than Americans do.
고급 영어일 수록 추상명사가 주어로 오는 경우가 많다. 위 문장에서는 gastronomical pleasure 대신 The fact that Koreans love their food alone does not explain (...) 으로 시작할 수도 있었을 것이나, 이 경우 글의 수준은 급격히 떨어진다.

If Korea's corporate culture were dragging down Korea's labor productivity, one should expect to see that drag across all sectors.

이것은 좋은 글쓰기라기보다는 내 개인적 스타일이나, 일반적인 내용을 논의할 때 one을 주어로 쓰는 것은 you를 쓰는 것보다 수준 높게 받아들여진다고 생각한다.

Sunday, October 12, 2014

2014년 10월 6일, 10월 11일자 퇴고와 기교

신해철1차 세계대전에 대한 글을 본 블로그에 올렸다.

As we climb higher into the rarefied heights of Korean pop music history, a concise statement of an artist's importance is approaching ever closer to impossible.

Rarefied는 아주 좋아하는 단어이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쓰려고 하는 단어이다. 자신의 트레이트마크처럼 종종 쓰는 어려운 단어를 지니는 것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계발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The best pop artists do not simply influence the artists who come after them; they change the society around them. 

두 문장을 세미콜론으로 연결했다. 적절한 곳에 쓰이는 세미콜론은 글이 늘어지지 않게 해준다.

Fortunately, the Germans stuck around just long enough to teach the locals how to make proper beer.

"just [형용사] enough to"처럼 위트 있는 숙어 또한 머릿속 단어장에 많이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Saturday, August 30, 2014

2014년 8월 29일자 퇴고와 기교

본진 블로그에 이민자들은 어떤 나라의 스포츠 팀을 응원해야 하는가에 대해 썼다.

I was alternately giving the play-by-play, singing the Cal fight song, and chanting and screaming incomprehensibly. In a bus full of tourists who couldn't care less.

- 두번째 문장은 주어와 동사가 없이 부사구 하나만 덜렁 떠있는 비문이다. 첫 문장에 등장한 내가 한 짓거리는 꽤 우습다. 그 짓을 사람이 가득 찬 버스 안에서 했다는 것은 더더욱 우습다. 개그 포인트를 향상시키려면 이런 식으로 비문을 무릅쓰고 일종의 원투 펀치를 날리는 것도 방법이다.

When the Lakers make their once-a-year trip to Washington D.C., I always go--although the Wizards bilk fans like me by charging $200 for a crappy seat.

- 좋은 단어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은 글쓰기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이 문장에서 bilk란 단어는 "바가지 씌우다"라는 뜻이며, 한국어의 "바가지 씌우다"에 담긴 억울한 감정이 똑같이 묻어나는 단어이다. 만약 여기에 예를 들어 overcharge 같은 단어를 썼다면, 분명 문어적 뜻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전달되는 감정은 다를 것이다. (Overcharge는 주로 공문서에 등장하는 단어이다.)

- 대쉬(--)는 문장의 리듬감을 조절하는 데에 아주 유용하다. "go" 다음에는 대쉬 대신 쉼표를 넣어도 적절했을 것이나, I always go 같이 짧은 구절에 앞뒤로 쉼표를 넣으면 문장이 늘어지는 느낌이다. 숨 돌릴 기회를 주면서도 다음 내용으로 재빨리 움직이기 위해 대쉬를 넣었다. 하지만 나는 대쉬를 지나치게 남용하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론 조심하는 부분이다.

This is not going to be a flip dismissal about the importance of sports loyalty, of the kind often given by people who do not understand the value of sports and dismiss it as grown-ups playing with a ball.

- 이런 문장에 "of the kind" 같은 접속사를 사용하여 중문을 만들 수 있다면 그대는 영작 최고봉에 거의 다 온 셈이다. "of the kind" 같은 접속사 없이 같은 내용을 전달하려면 내용이 겹치는 문장 두세 개가 등장할 것이나, 적절한 접속사로 간명한 문장 하나로 연결해낼 수 있다.

Each match is a work of art, reflective of the nuanced highs and lows of the life itself. 

- "art"와 "reflective" 사이에는 "which is"가 빠져있다. 이런 식으로 긴 형용사구를 명사 뒤에 놓아 수식하는 모양새는 아주 자주 쓸 수 있는 고급형태이므로, 꼭 숙지하기 바란다.

It is one thing to deeply engage in a metaphor, quite another to allow it to consume reality. 
--> It is one thing to deeply engage in a metaphor, quite another to let it consume reality.

- 문법적 요소도 단어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이 문맥에서 allow와 let은 뜻이 같으나, let은 사역동사이기 때문에 뒤에 동사원형 (consume)을 직접 가져올 수 있다. 즉 allow를 let으로 바꿈으로서 문장에서 to라는 단어를 뺄 수 있는 것이다. 단어를 가장 적게 쓰면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부 전달하는 것이 간명한 글쓰기의 기본이다.

But if we should treat our sports opponents as enemies on the battlefield, there is no reason why we should not call for more bean balls to the head, more chop blocks designed to break the knee. 

- "more . . .,  more . . ."로 시작하는 동격구에 주목. 동격구를 잘 활용하면 and나 or 같은 접속사 없이도 리듬감있게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Sunday, August 24, 2014

2014년 8월 24일자 퇴고와 기교

주로 영어로 글을 쓰다보니 영어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언젠가 영어공부에 대한 개인적 소회를 풀어놓으려 한다. 하지만 좀 더 구체적인 예시를 위해 내가 본진 블로그에 글을 쓰고 퇴고하면서 내가 초본에 썼던 내용을 교정하거나, 무언가 작가로서의 기교를 발휘한 부분을 몇 군데 소개하려 한다. 가능하면 본진 블로그에 글을 하나 쓸 때마다 이런 포스트를 병행할 예정이다.

오늘자 포스트에는 드렁큰 타이거에 관한 내용을 썼다.

Korean hip hop can be considered a forest, with many a skilled hand that planted, tended and lovingly nurtured each tree.

- "many a [단수형]"은 문어적 표현으로, "정말 많다"는 느낌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 "planted, tended and lovingly nurtured"은 선호하는 형태. [동사]+[동사]+[동사]는 갑갑해지기 쉬우므로, 마지막 동사 앞에 부사를 넣어 [동사]+[동사]+[부사]+[동사]의 형태로 리듬의 변화를 준다.

The hip hop-esque music from the transitional period of 1990s is sometimes referred to as "rap dance," a genre that is still alive and well in Korea.

- "rap dance" 다음에는 "which is"가 빠져있다. 동격구를 사용함으로서 단어 두 개를 없앨 수 있다면 그 길을 취하는 것이 좋다.

But they did grow a forest from what seemed to be a hostile, infertile land --> But they did raise a forest from what seemed to be a hostile, infertile land

- "키워냈다"라는 뜻을 전달하기 위해 처음에는 "grow"라는 동사를 썼으나, "raise"로 바꿨다. 진짜 숲이나 식물을 키워냈다는 함의를 전달하려면 grow가 옳으나, 아이를 키워내는 듯한 과정의 비유라는 생각 때문에 raise가 더 효과적이라고 느꼈다.
- "hostile, infertile land":  "very" 같은 의미 없는 강조어를 피하는 것은 영작의 기본 규칙 중 하나다.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이렇게 유의어를 두어번 반복하는 식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