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한국사회.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한국사회. Show all posts

Thursday, February 12, 2015

'나는 페미니스트가 아닙니다'

0. 열면서

요즘 트위터에서 #나는페미니스트입니다 라는 태그가 유행하고 있고, 저는 거기에 동참하지 않겠다 선언했습니다. 이 선언은 상당한 (대부분 부정적인) 반향을 불러왔습니다. 반향의 대부분은 별반 대꾸할 가치가 없는 정념의 발산이었지만, 진중하게 반론을 제기하신 분도 간혹 계셨습니다.


반론 트윗 내용을 연결했습니다: 
"흥미로운 논의군요. 하지만 이런 문제에 대해선 한 여성이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선언하는 것보단 한 남성의 선언이 훨씬 큰 파급력을 지닙니다. 기득권층이기 때문이죠. 흑인을 지지하는 백인들처럼. 이런 상황에선 선언이 가벼워질수록, 하나의 패션이나 유행에 가까울수록, 여성운동에겐 전략적으로 좋습니다. 지금처럼 단순한 선언 조차 무겁게 여겨지는 분위기는 운동에 매우 장애가 되지요. 가벼움은 무기입니다. 그러하기에 자신이 "진짜 페미니스트"에 미치지 못한다는 생각으로 선언을 저어하는 것은, 1. 현대 한국에서 이 선언이 다양한 측면으로 얼마나 무거운지 반증하며, 2.선언을 더욱 무거이 만드는군요. 사회운동은 어디까지나 숫자의 문제이며, 허수란 없습니다. 페미니즘이 가벼워 유행이 된다면 그건 전략적으로, 정치적으로 매우 큰 효과를 가져옵니다."
제 생각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야겠다 싶어서 이 포스트를 씁니다.

1.  하나의 일화

"흑인을 지지하는 백인" 얘기가 나왔으니, 그와 비슷한 일화를 하나 소개 드리겠습니다.

제 자신의 얘기를 하는 건 낯간지럽지만, 약간의 배경설명이 필요합니다. 전 대학 시절부터 미국 인종관계에 관심이 많아 그때부터 관련 활동에 투신해왔습니다.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네요. 한국과 한국계 미국인에 대한 제 블로그를 운영한지는 거의 10년이고, 졸블로그가 나름의 인기를 모아 제법 영/미 주류 언론에도 소개되고 기고도 하고 있는 위치입니다. 즉, 최소한 아시안 아메리칸 사회에서 전 순전한 필부필부는 아니란 말씀입니다. 곧 설명드릴 사건에 대한 배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이런 설명을 드립니다.

콜베어 리포트 배너입니다.
(source)

미국 인기 시사 코메디 프로그램 중 "콜베어 리포트"라는 것이 있습니다. 작년에 이 프로그램에서, 아시안 아메리칸을 차별한다고 보일 소지가 있는 개그가 나왔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곧 아시안 아메리칸 활동가들이 반응했고, 전선이 짜여졌습니다. 강경파는 "이것은 차별이다, 사과해야한다"라는 주장이었고, 제가 속한 온건파는 "전체적 맥락을 보면 차별할 의도가 보이지 않으니 넘어가야한다"라는 주장을 했습니다.

강경파들은 강경파답게 온건파에게 "배신자"라며 맹공했습니다. 제게도 엄청난 욕설과 비난이 쏟아졌죠. 활동하면서 당연히 있는 일이니 크게 개의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는 당혹스러웠습니다. 저를 가장 극렬하게 공격한 사람들은 아시안 아메리칸들이 아니라, 아시안 아메리칸 운동에 끼어있는 백인 활동가들이었습니다. "나는 저것을 차별로 보지 않는다"라고 했더니 백인활동가들이 저보고 "너는 백인 우월주의에 찌들은 인종차별주의자다"라고 하기도 했고요. 평생 1초도 인종을 이유로 차별받아보지 않은 이들이 20년 가까이 활동을 해온 저에게 "네 생각은 상관없고, 우리가 이것은 차별이라고 정했으니 받아들여라"라고 주장하는, 지극히 우스운 꼬락서니였습니다.  

제가 #나는페미니스트입니다 태그를 달 수 없는 이유는, 저런 백인 활동가의 우스꽝스런 모양새를 내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Wednesday, August 13, 2014

한국 관련 믿을 만한 외신

외신이 한국에 대해 무슨 말을 하나 관심들이 많다. 국제적으로 한국이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에 관심 갖는 것은 좋은 현상이다. (미국은 이걸 너무 안 해서 문제다.) 하지만 외신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문제다. 국제사회가 보고 있다는 중압감을 (상대편에) 발휘하고 싶고, 한국의 언론은 믿을 수 없다는 의식도 있기 때문에, "외신이 이랬더랜다"라는 전가의 보도가 휘둘려 지는 모습이 아주, 아주 자주 보인다.

외국 사는 입장에서 볼 때, 그 전가의 보도는 종종 우스꽝스러운 썩은 지푸라기다. 아무래도 한국에 사는 경우 어떤 외신은 공신력이 있고 어떤 외신은 "찌라시"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이유가 크다. 게다가 이름난 외신이라 하여 한국에 대해 잘 안다는 보장도 없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타임 (Time Magazine; 런던의 "타임즈"가 아니다) 이나 BBC가 한국에 대해 보도하는 모습은 아마추어 수준이다. 인상비평에 불과한 외신 기사를 들고 "세계 여론이 나의 견해에 동의한다"며 목청 높이는 것은 보기 민망할 정도다.

거의 대부분의 외신은 한국에 지국이나 상주 특파원이 없고, 홍콩이나 일본에 위치한 "아시아 특파원"이 한국 뉴스까지 커버한다. 이러한 "아시아 특파원"들은 한국어를 구사할 수도 없고 한국에 별다른 인적 네트워크도 없기 때문에, 한국에서 나오는 영자지와 한국에 대하여 쓰는 영어 블로그에 기반하여 기사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 블로그 AAK!의 내용이 약간만 바뀌어 기사화된 경우도 많다. 링크라도 걸어주면 양반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외신은 한국에 상주하는 프리랜서 기자들에게 많이 의존한다. 한국에서 뉴스거리가 나오면 급히 프리랜서 기자들에게 연락해서 기사를 만들어 내어 싣는 형식이다. 문제는 외신 편집부는 대부분 한국에 대해 상당히 기본적인 배경도 없기 때문에 좋은 기사, 기고를 부실한 기사, 기고와 구분할 역량이 없다는 것이다. 즉 이를테면 프리랜서가 CNN의 명패를 달고 기사를 내었다 하여 일반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CNN 수준의 기사가 나오는 것은 아니란 뜻이다.

도저히 기자 단위로 찾아읽을 여력이 없다면, 뉴욕 타임즈, 월 스트리트 저널, 이코노미스트와 파이낸셜 타임즈를 추천한다. 이 네 군데 신문/잡지는 한국에 상주하는 특파원이나 한국 지국이 있고, 때문에 한국에 대한 기사의 질이 다른 외신에 비해 월등히 높다. 다루는 정보나 논평의 깊이가 한국 국내 언론에 뒤지지 않는다. 특히 한국 관련 뉴스만 다루는 블로그를 개설한 WSJ의 최근 약진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외신의 한계 때문에, 한국 관련 외신 뉴스는 기자 단위로 신뢰도를 부여하는 것이 옳다. 개인적으로 한국 관련 뉴스에 대해 내가 가장 신뢰하는 기자들과 그들의 소속은 다음과 같다:

- Choe Sang-hun [최상훈]:  뉴욕 타임즈 한국 특파원
- Alastair Gale:  WSJ 한국 지국장
- 그 외 WSJ의 Korea Real Time 블로그 소속 정규 기자 전원. (외부 기고인들은 제외.)
- Simon Mundy:  파이낸셜 타임즈 한국 특파원
- Geoffrey Cain:  프리랜서. 주로 Global Post에 가장 자주 등장.
- James Pearson:  로이터 한국 특파원

그 외 더 있으나 지금 당장 기억이 나지 않는다. 기억이 날 때마다 때때로 목록에 추가하겠다. 이코노미스트는 원칙적으로 개인 기자 이름을 기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참조 바란다.

첨언 1 - 1980-90년대의 기억이 남아서인지, 타임紙를 정론지로 여기고 많은 신뢰를 부여하는 경우가 잦다. 유통기한이 지난 인식이다. 타임은 아시아를 커버할 능력을 잃은 지 오래며, 다른 뉴스에서도 미국 여론을 선도할 역량을 잃은 지 최소한 10년은 지났다. 여론선도력이 뛰어난 미국 언론사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트에서 설명하겠다.

첨언 2 - 한국에서 "외신이 이렇게 보도했다"며 강한 정치적 주장이 뒤따르는 경우, 가급적 원문을 읽어볼 것을 강력하게 권유한다. 억지스런 번역 혹은 노골적인 오역으로 아전인수격 주장을 하는 경우가 너무 많으며, 심지어 대형 언론사도 종종 이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 하는 듯하다.

Friday, August 8, 2014

왜 이리 절망하는가

"이게 나라인가."

세월호 사건 이후 지금까지 자주 보이는 한탄이다. 오늘 읽은 신문 칼럼에도 이 표현이 보인다: "과연 이게 나라인가. 어이없고 기초도 기본도 무시된 유병언 수사, 반성도 개선도 없는 국회, 그리고 여전히 부정과 비리에 둔감한 사람들."

조금 의아하다. 세월호 사건은 물론 비통하다. 윤 일병 구타살인, 임 병장 총기난사 사건 또한 공분받아 마땅한 일이다. 하지만 그 비통함과 공분이 왜 "이게 나라인가"라는 한탄으로 표출되는지는 이해할 수 없다. 

세월호 사건이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일어난 대형사고는 아니다. 1995년, 삼풍백화점이 끔찍하다 못해 우스울 정도로 붕괴되었던 모습을 나는 똑똑히 기억한다. 그때의 사망자는 500명이 넘었다. 당시에 떠돌던, 잔해의 묻혀있던 사람들의 목소리가 한참동안 들렸다가 하나씩하나씩 사그라들었다는 이야기를 듣는 것은 세월호 안에서 찍은 동영상을 보는 것만큼이나 안타깝고 속을 태운다. 그 큰 고급백화점 건물이 붕괴까지 이르게한 구태와 무능은 세월호 사건을 일어나게한 구태와 무능에 조금도 뒤처지지 않는다.

그 약간 전에는 성수대교 붕괴가 있었고, 같은 해에는 100명이 넘게 사망한 대구 상안동 가스폭발 사건이 있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에서는 200명 넘게 사망, 실종했다. 구태와 무능은 그때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세월호와 비슷한 규모의 사건이 일어났던 당시엔 국가의 기본적 기능을 의심하는 반응이 지금처럼 성행하진 않았다. 

작금의 한탄은 끔찍한 사건 직후에 나올 수도 있는 감정적인 반응이라 보기도 어렵다. 세월호 사건 직후 한겨레가 대문짝만하게 "이것이 국가인가"라는 표제를 단 주간지를 내놓았을 때, 살짝 과하지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워낙 충격적인 일이었으니까. 하지만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지 100일이 가까워가는 지금까지도 "이게 나라인가"라고 자문하는 이유는 알 수 없다. 슬퍼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세월호 사건이 다른 거대 사고와 무엇이 다르기에 이런 반응이 나오는지, 왜 슬픔을 넘어선 절망을 고집하는지, 이렇게 절망하는 것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이해할 수 없을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