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좋은 글 쓰기.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좋은 글 쓰기. Show all posts

Wednesday, August 12, 2015

Writing About Writing

I never identified with writers who agonize over writing. Certainly their struggles are legitimate, but that simply has not been me. I think, and I write. Then I think some more, and I edit what I wrote. It has always been a fast process. I am a fast writer.

What I did not realize until recently is that I have a limited reservoir of writing in me. It doesn't matter what I write about--I can only write a certain amount in a given period of time. This reservoir is a scarce resource from which I, currently, draw in order to write a number of things except the blog and the book.

Walking away from them was easy--too easy that it scared me a bit. I need to return to them. So I write to remind myself.

Friday, January 9, 2015

설득 대 개종

앞선 포스트에서 설득보다 강한 힘은 개종이라고 소개했다. '개종의 예술'을 논하기 전에, 설득과 개종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왜 개종은 설득보다 강력한지에 대한 논의가 선결되어야할 것 같다.

'개종'이란 단어는 필연적으로 '종교'라는 개념을 소구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개종'은 꼭 종교를 바꾼다는 내용은 아니다. '세계관'을 바꾼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세계관을 바꾼다는 것은 정확히 무슨 뜻인가? 나의 정의는 이렇다: 담론의 시작점을 바꾸는 것. 거대하고 높은 산 꼭대기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를 상상해보자. 첫 걸음을 어떻게 내딛고, 열 번째, 백 번째 걸음을 어느 방향으로 내딛느냐에 따라서 내려오는 길은 천차만별일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걸어도, 그 큰 산의 표면에 발을 디디고 있다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발걸음의 방향을 바꾸게 만드는 것이 '설득'이라면, 시작하는 산 자체를 바꾸는 것이 '개종'이라고 할 수 있다. 설득이 전투의 기술이라면, 개종은 그 전투가 시작도 하지 않게 만들어버리는 외교술이다. 때문에 자연히 개종은 설득보다 강하며, 진정한 사회적 변혁은 대개 설득이 아닌 개종을 통해 이루어진다.

(방백. 인간사회는 뚝뚝 떨어진 산 하나씩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큰 산이 모이고 겹친 고원이며 서로 다른 산에서 내려와도 아래쪽에 겹치는 길은 많다는 점은 상기해야할 것이다.)

이 사실은 인간사회 모든 면에서 드러난다. 이를테면 토마스 쿤은 '패러다임'이란 개념을 통해, 과학의 발전은 점진적으로 증거를 쌓아올려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 (이 포스트에서 쓰이는 '세계관'이란 개념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이 등장하여 기존의 사실을 재정돈함으로서 이루어진다고 관찰했다. 즉 사실 하나하나를 연구하는 것보다, 그 사실을 어떻게 정돈하여야하는 원칙을 바꾸는 것이 과학의 발전이란 것이다. 

개종이 설득보다 강하다는 것은 이론적인 논의만이 아니다. 임상학적으로도 개종된 인간은 설득에 면역이 생긴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2013년 예일대학교 실험에서는, 실험군을 둘로 나누어 실질적으로 같은 응용수학문제를 풀게 했다. 하나의 실험군에게는, 지문에 정치색이 짙게 들어간 응용문제를 주었고 (총기소유에 대한 내용), 또 다른 하나는 정치색이 없는 문제를 주었다 (단순 피부병에 대한 내용). 

결과는? 수학적으로는 완전히 같은 문제였지만, 정치색이 들어간 문제의 정답률은 널을 뛰었다. 문제가 본인의 평소 정치적 성향과 합치한 경우 정답률은 크게 상승했고, 정치적 성향이 반대인 경우 정답률은 하강했다. 게다가 이 추세는 수학을 잘 하는 사람일 수록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즉 아무리 똑똑한 사람이라도 평소의 정치적 성향 (=이 또한 '세계관'의 일부)에 거스르면 글자 그대로 *지능이 떨어진다*. 세계관이 무엇이냐에 따라 '설득'이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이성적 사고의 틈새가 사라져 버리는 것이다.

현실적 경험에서도 이는 잘 드러난다. 이념적 성향이 강한 사람은 자신에게 유리한 사실만 취사, 해석한다는 건 두 번 말하면 입 아프다. 세계관이 '친일파 타도'인 사람에게는 영덕 대게 그림도 욱일기며, 세계관이 '때려잡자 빨갱이'인 사람에게는 전두환도 민주주의의 화신이다. 이들에게 설득 따위는 통하지 않는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점은 이념적 성향이 강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지언정, *세계관이 없는 사람이란 없다*는 점일 것이다. 아무리 생각이 유연한 사람도 결국에는 본인의 세계관과 합치하는 주장에 더 귀를 기울이고 설득된다. 즉 설득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앞서 말한 설득의 세 요소뿐만 아니라, 상대의 세계관이 무엇인지, 나의 세계관과는 어떻게 다른지도 이해해야한다는 것이다.

개종은 쉽지 않다. 설득보다 효과가 큰만큼 난이도도 훨씬 높다. 일생에 한 번이라도 개종을 겪는 것은 기적이나 마찬가지며, 여러 타인을 개종시키는 것은 물 위를 걷는 것보다 더 엄청나다. 물 위를 걷는 것은 초현실적일지 모르나, 개종은 현실 자체를 휘두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Tuesday, January 6, 2015

설득의 예술


오늘 하루 트위터를 뜨겁게 달군 조기숙 교수의 트윗이다. 무엇보다 사실관계가 틀렸기 때문에 머쓱해지는 내용이다. ("갑질"은 없었다. 마트 주차장의 CCTV를 판독한 결과 알바생이 먼저 고객에게 위협적 행동을 했으며 처음에 사과도 건성으로 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란 것이 훨씬 더 설득력있다. 무슨 잘못을 했건 무릎을 꿇릴 수 없다고 주장한다면 "갑질"이란 개념어의 정의가 나의 그것과는 다른 것이리라.)

사실관계를 차치하더라도, 저 트윗은 실패했다. "비굴해지지 말라"라는 조 교수의 주장은 전혀 먹히지 않았고, 오히려 "저 알배생들의 사정도 모르면서 어디서 꼰대질이냐"라는 거센 역풍만 초래했다. 설득에 실패한 것이다.

설득처럼 강력한 힘은 세상에 또 있지 않다. 폭력이나 위협 없이 타인의 마음을 바꾼다는 것, 이 얼마나 큰 힘인가. 어떻게 해야 잘 설득할 수 있는지,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타인의 마음을 어떻게 하면 돌릴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은, 인생의 기본 기술 중 하나라고 볼 수도 있겠다.

설득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나는 아르스토텔레스의 고전적 해설보다 나은 방법론을 아직 본 적이 없으므로, 그 내용을 설명하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설득의 세 가지 유형"을 설파했는데, 에소스 Ethos, 페이소스 Pathos 그리고 로고스 Logos 이다. 

에소스는 '화자에 대한 신뢰도'이다. 발화자가 직접 경험한 내용이나, 발화자가 전문적인 지식을 지니고 있는 내용을 사용한 주장은 그 설득력이 높다. 페이소스는 '감정선'이다. '감정에 호소'라는 표현은 대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은근한 감정적 소구력이 있는 주장이 더 설득력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로고스는 '논리'다. 탄탄한 논리가 있는 주장은 또한 설득력이 강하다. 

설득의 현장을 전투라고 본다면, 에소스는 지형이요 페이소스는 병사 개개인의 전투 능력, 로고스는 작전과 전술이라고 생각한다. 셋 중 하나만 유리해도 이길 수는 있을지 모르나, 승리의 확률을 극대화하려면 마땅히 세 요소가 전부 유리해야한다. 설득도 마찬가지다. 상황에 따라 이 셋 중 하나만 가지고 설득할 수도 있을 것이고, 셋 중 둘만 가지고 설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설득력을 극대화하려면 설득의 세 가지 유형이 전부 필요하며, 세 가지 유형을 전부 갖춘 주장이 가장 설득력이 높다.

이에 미루어 보면 조 교수의 트윗이 왜 실패했는지 곧 알 수 있다. 조 교수의 로고스는 기실 나쁘지 않다. 조 교수의 논리는 "불의에 맞서 저항하라"이며, 이 로고스는 틀리지 않다. 뒤집어 생각해보라. 조 교수가 "살다보면 먹고살기 위해 무릎 좀 꿇을 때도 있는 거다"라고 했다면 엄청난 칭찬을 받았을 것인가? 그럴리가 없지 않은가.

문제는 나머지 두 요소다. 조 교수는 에소스에서 이미 상당히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다. 이는 조 교수의 트윗경력에서 상당부분 기인한다. (조 교수가 어쩌다 트위터에서 이런 위치까지 왔는지, 이런 위치에 처한 것이 정당한 것인지는 논외로 하겠다.) 트윗경력을 제한다하더라도, 먹고살만한 50대의 대학교수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20대의 삶에 대한 담론에 별다른 무게감을 가져올 수 없다.

하지만 조 교수의 결정적 실패는 페이소스다. 앞뒤 사정이 어찌되었든, '무릎을 꿇었다'라는 자극적 사실에 이미 감정은 격앙되어 있었고, 또한 트위터는 진상에게 당하는 젊은 비정규직 서비스업 종사자들로 넘쳐나기에, 언제든지 저 무릎 꿇은 알바생들에게 감정이입을 할 준비가 되어있는 곳이다. 이 감정선을 읽지 못하고 저런 주장을 하는 것은, 이를테면 불리한 지형에서 허기진 병사들을 데리고 전투를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지휘관의 전략이 아무리 뛰어나다 하더라도 (즉 조 교수의 로고스가 아무리 강하다 하더라도) 패배의 확률이 높다.

(방백. 조 교수를 비판한답시고 "우린 모두 이렇게 약하기 때문에 저항 따위 불가능하다"라는 얘기를 꺼내드는 사람이 많았다. 저항하지 않겠다고? "가만히 있으라"는 말인가? 조 교수의 발언이 어디가 잘못되었나 인지하지 못 했기 때문에 일어나는 촌극이다. 주장에 반론을 펼치려면 약점을 노려야 하며, 조 교수의 약점은 페이소스이다. 그걸 놔두고 조 교수의 강점인 로고스를 공략하니 스텝이 꼬이는 것이다.)

범위를 넓혀서 보면, 인터넷에서 흔히 일어나는 '병림픽'의 양상도 이러한 각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익명의 인터넷에서는 에소스가 작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빈 자리에서 페이소스와 로고스가 널뛰듯 담론을 휘두른다. 신상을 속이는 주작질도, 통계자료의 공정함을 두고 일어나는 개싸움도 어떻게는 에소스를 소구하려는 몸부림인 것이다. 설득의 하수들은 인터넷의 우중은 논리를 따르지 않는다고 불평하지만, 이는 풀파워의 1/3 밖에 쓰지 못하는 주제에 내뱉는 투정에 지나지 않는다. (또 저런 불평하는 이 중 제대로 논리를 만들어내는 경우는 많지 않다.)

추.  앞서 "설득처럼 강력한 힘은 세상에 또 있지 않다"고 술했으나, 사실 설득보다 강력한 것이 하나 있다. "개종"이다. 개종의 예술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설명하기로.